본문 바로가기
제테크/주식

[미국 국채] 미국 장단기 금리차와 주가 (기술주 & 경기민감주)

by 제이콥J 2021. 12. 13.

기술주 투자를 위해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에 대해 블로깅해보았다.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란?

미국 장단기 금리차(스프레드) : 미국 10년물 국채 - 미국 2년물 국채

2년물 국채 금리는 연준 기준금리를 따라감

10년물 국채 금리는 투자자의 선택에 영향을 받음

 

 

 

경제 성장성이 클 때 → 10년물 국채 매도 →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 스프레드 상승

경제 성장성 둔화 → 10년물 국채 매수 → 10년물 국채 금리 하락 → 스프레드 감소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가 떨어질 때

경제 성장성이 둔화되는 시기에는 성장주가 주목을 받음

성장주가 상승하여 성장주 (특히 기술주)에 투자할 시점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가 올라갈 때

일반적으로 경기민감주에 투자할 시점

P(가격) * Q(물량) - C(비용) = 영업이익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전통적 가치주의 주가가 상승

 

그러나 장단기 스프레드가 올라가도 공급 부족, 인플레이션 이슈로 제조업의 이익 증가가 둔화될 수 있음

이익 증가가 둔화되면 전통 제조업, 경기민감주의 주가가 횡보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가 Zero (장단기 금리차 역전)

1. 발생 원인

10년물 국채금리 = 2년물 국채금리

경기가 좋지 않아 10년물 국채 금리는 제자리 유지

인플레이션으로 2년물 국채금리(기준금리)는 상승

 

2. 해석 : 경기 둔화와 주가 폭락의 선행지표

단기 금리가 주식 기대수익률보다 높아짐 → 채권으로 자금 이동

(인플레이션으로 자산 가격이 높고 성장성은 낮은 상태)

장단기 스프레드 역전 이후 2~3년 후 주식시장이 폭락하는 역사가 있었음

따라서 역사적으로 성장주 (기술주/바이오) 상승 후 폭락이 왔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