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주식

[금리] 금리와 인플레이션 및 주가의 관계 (feat. 기술주)

by 제이콥J 2021. 12. 12.

금리와 인플레이션

금리 하락 → 경기 부양 but 인플레이션 발생

금리 상승 → 인플레이션 방어

 

1. 달러 인덱스와 국제 유가

금리 상승  시중 달러 흡수 → 달러 인덱스 증가 → 유가 하락 → 인플레이션 방어

금리 하락 → 달러 인덱스 증가 → 유가 상승 → 인플레이션 발생

 

 

  • 달러 인덱스와 국제 유가는 반대로 움직임
  • 페트로달러(달러로만 석유 대금을 거래하는 시스템)의 영향
  • 유가는 인플레이션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 추가로 달러 인덱스와 유로화 가치도 반대로 움직임

 

2. 자산 가격 상승 속도 조절

금리 하락 → 임금 상승 및 전반적인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줌

 


금리 인상과 주가

금리 하락 → 자금이 주식/부동산으로 쏠림 → 주가 상승

 

1. 금리 인상 → 주가 상승

역사적으로 금리 상승 시 주가가 상승

이론적으로는 금리 상승 시 주가는 떨어져야 함

그러나 현실에서는 경제가 좋을 때 금리를 올리기 때문에 경기 사이클로 인해 주가 상승

 

2. 금리 인상과 기술주

출처 : Youtube 피셔인베스트 채널

 

1) 금리 인상 → 기술주 상승

최근에는 금리 인상 시 기술주 하락

이론적으로는 금리 인상 시 할인율이 높아져 성장주 가치 하락

그러나 지난 30년에는 금리 인상 시기에 기술주 상승

 

2) 기술주 상승 원인 : 금리상승 시기에 대부분의 기업들의 이익 성장률이 완만해짐

인플레이션을 확인하고 실물경제가 살아난 이후에야 연준은 금리를 인상

즉 폭락 후 돈풀기를 통한 대세상승장이 끝난 이후에야 금리가 인상됨

이 시기 대부분의 기업들의 이익성장률은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증가 but 대세상승장 때보다는 완만해짐

따라서 이익성장률이 빠른 기술주에 투자자금이 몰림

 

3. 금리 인상 (2.5% 이상) → 주가하락

금리 2.5% 도달 → 채권 시장의 기대수익률 > 주식시장의 기대수익률 →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

자금이 채권으로 이동하면서 주가 하락

기준 금리가 인상 → 대출 금리 인상 → 자산 매도

저금리로 돈을 많이 풀수록 대출금이 많아져 금리 인상에 취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