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테크/주식

[경기 사이클] 거시경제와 주식시장

by 제이콥J 2021. 12. 12.

주식 투자에는 탑다운(Top-Down) 방식과 바텀업(Buttom-Up) 방식이 있습니다.

저는 평소 전략을 짤 때 전체의 큰 그림을 먼저 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따라서 투자도 탑다운 방식으로 공부하려고 합니다.

 

탑다운 방식을 위해서 먼저 거시경제를 이해하고 투자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경기사이클을 활용한 투자에 대해서 블로깅했습니다.

 

경기사이클과 주식시장

보통 주가는 실물경제와 비슷하게 움직임

경제 회복/성장 시 주가가 실물경제보다  1~2분기 빨리 상승

경기 하락 시 주가는 실물경제와  같이 하락

 

0. 경기사이클 투자의 기본 컨셉

경기사이클 : 상승 → 둔화 → 하강 → 회복

회복과 상승기에 주식 비중을 높여야 하며, 둔화와 하강기에는 국채 비중을 늘리기

 

1. 금융 장세

실물 경제가 바닥을 찍기 전에, 주식 시장이 바닥을 돈의 힘으로 찍고 튀어오름

이 때 뉴스는 주가와 실물경제 괴리 커서 위험하다고 함

 

2. 실적 장세

실물 경제가 바닥을 찍고 회복됨

실제적인 이익이 오르는 기업의 주가만 증가

기대만 높거나 인플레이션 수준의 이익 증가율만 보이는 기업은 주가가 크게 오르지 않음

 

3. 역금융 장세

금리가 오르며 실물 경제가 정점에 진입하고 뉴스는 경제가 계속 좋아질 것이라고 함

사이클 정점에서는 수요가 줄어듬 : 신규 주문 감소, 재고가 많이 쌓임, 고용도 충분

Bull market과 Bear market이 모두 나타남

개인투자자가 많이 투입되어 물리는 지점

주식을 팔고 현금화가 필요한 시기

 

4. 역실적장세

실물 경기와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 지점

 

경기 사이클에 따른 투자

1. 경기사이클에 따른 주도주 (정확하진 않지만 참고용)

금융 장세 : 기술주, 금융, 경기민감업종

실적 장세 : 원자재, 산업재, 에너지 관련주

역금융 장세 : 성장주 및 헬스케어

 

2. 경기 사이클과 주가 및 금리

실물경제 악화 → 정부의 재정 확대 및 저금리 정책 → 주가 급등 (금융 장세) → 경제 회복 (실적 장세)

→ 정부의 테이퍼링 및 금리 인상 → 금리 상승

→ 주가 기대수익률 < 채권 기대수익률 (금리 2.5%) → 채권으로 자금 이동 → 주가 폭락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