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에서 구독중인 변두매니저님 영상을 보다가 내용이 너무 좋아서 블로깅을 했습니다.
용어 정의
- 조정(correction) : 증시 지수가 고점에서 10% 하락. 일시적 이벤트
- 하락장(Bear Market) : 증시 지수가 고점에서 25% 하락. 시스템 리스크 (금융위기) 또는 장기적 경기둔화로 발생
- 증시 지수 예시 : KOSPI, KOSDAQ, DOW, NASNAQ, S&P 500
주식보다 유동성이 높은 자산들 확인하기
- 하락장을 앞두고 금융 기업에서는 유동성이 큰 자산부터 매도
- 관련 자료 : www.finbiz.com
1. 채권, 환율, 상품 확인하기
- 주식 시장보다 유동성이 높고, 주식 시장보다 1달 전에 시그널 나옴
- 상품 : 유가, BDI 운송지수, 소비지수
2. 글로벌적으로 유동성이 큰 국가/종목의 자산을 우선적으로 매도
- 한국의 경우 주변국인 일본에서 대량 환매 확인하기
3. 파생상품 시장 확인 : 현물 시장보다 유동성이 높음
- 국내 선물시장에서 외국인 대량 환매 확인하기
- 아직 한국에서 대량 환매가 없더라도, 유동성이 더 큰 주변국가에서 선물시장의 환매 확인하기 (ex. 일본, 중국)
4. KOSPI 내의 유동성 높은 자산 확인
- 하락장에서 금융 기업들은 거래량 많고 유동성 풍부한 종목부터 환매 진행
- 은행주 : 50% 이상이 외국인 지분이며, 외국인이 한국에서 가장 활발하게 매매할 수 있는 섹터
- 대표 종목 : 삼성전자, SK 하이닉스 등
국내 신용 잔고 : 단기 고점/저점 확인 지표
- 국내 신용 잔고 추이 확인하기
- 주식시장 하락시 담보 금액이 떨어져 예치금을 더 넣거나 대여한 주식을 팔아야 함
- 금융투자협회의 자본시장 통계 링크 : http://freesis.kofia.or.kr/
1. 증시가 급락한 후 신용 잔고 추이도 급락한 경우
- 대규모 매도 물량은 이미 나온 상황 (리스크 관리 타이밍 놓침)
- 공포 유발 뉴스가 쏟아지는 타이밍이지만, 견디면서 기술적 반응 기다려야 하는 타이밍
2. 증시가 하락했지만 신용융자잔고가 아직 급락하지 않은 경우
- 증시가 추가로 하락할 경우 반대매매 물량 쏟아질 수 있음
- 현금 비율을 30% 이상 높여 리스크 관리 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g15fyppjPco
반응형
'제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금리와 인플레이션 및 주가의 관계 (feat. 기술주) (0) | 2021.12.12 |
---|---|
[경기 사이클] 거시경제와 주식시장 (0) | 2021.12.12 |
[밸류에이션] 장기투자 종목 선정 및 가치함정 (Value Trap) (0) | 2021.10.05 |
[금융지표] 주가 추세 확인을 위한 금융지표 (0) | 2021.10.04 |
[경제지표] 주가 추세 확인을 위한 경제지표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