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경기사이클과 주가의 추세를 확인하기 위한 경제지표를 블로깅했습니다.
대부분 미국의 경제지표입니다.
미국의 경제가 글로벌 경제와 증시에 영향을 줍니다.
한국은 수출중심국가이며 미국은 세계 최대 수입국입니다.
미국 경제가 한국의 경제와 증시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미국주식뿐 아니라 한국주식에 투자할 때에도 미국의 경제지표를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미국 거시경제 지표
1.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 (10년물 국채금리 - 2년물 국채금리)
미국 장단기 스프레드가 하락하는 구간에는 경제 성장률 둔화됨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구간에는 실적 성장이 강한 성장주로 자금이 몰림
2. 전년동기 대비 GDP 증가율
국내 총 생산 = 국내 총 지출 (정부 지출 + 개인 소비 + 투자 지출 + 수출 - 수입)
분기별 데이터를 확인하여 우상향 우햐향 추세 확인하기
3. 미국 고용지표
미국 연준에서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준이 고용지표
고용지표가 악화되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를 낮춤
고용지표가 회복되면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높임
미국 제조업 관련 지표
1. PMI (Purchasing Management Index)
1) 개요
미국 ISM(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 : 공급관리자협회)에서 발간
미국 제조업체의 수요 예측을 위한 지표로, 실물경제를 앞서 전망할 수 있는 선행지표
2) 주요 세부 지표
신규주문지표 (New Orders)
고객 재고 (Customers' Inventories)
배송(Supplier Deliveries)
3) 지표 해석
2021년 4월 이후 배송 지연으로 지수가 악화되어 자금이 주식에서 채권으로 이탈했으며, 그와 무관한 빅테크주는 상승
미국 수입은 한국 수출과 코스피에 영향을 주며, PMI 지표는 한국 수출 선행지표로 해석 가능
지표의 성장률이 하락하는 시기에는 외국 자금 적고, 박스권 및 순환매 장세 (역사적으로 경기방어주 및 내수주 강세)
50이 기준이며 50 밑으로 떨어지면 코스피에 악영향
2. 미국자본재신규주문지표
미국 제조업 설비투자지수
이 지표가 증가하는 구간에는, 주로 중간재를 만드는 한국 제조업체의 수출이 증가하여 코스피 증가
이 지표의 증가율이 떨어지면 한국 수출 예상 성장률이 감소하므로 코스피도 하락할 가능성 높음
미국 소비 관련 지수
1. 미국 Consumer Confidence Index (소비자심리지수)
미국의 소비 심리를 알 수 있는 지수
빅테크 중심 미국 주가는 이 지표에 크게 영향받지 않기 때문에, 소매판매 지수와 병행해서 확인 필요
제조 중심의 신흥국 주가는 미국 소비자심리지수의 영향 받음
미국 Conference Board 에서 발행
2. 미국 소매판매지수 (소매판매 증가율)
1) 해석
계절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월 대비 증가율이 아닌 전년 대비 증가율을 확인해야 함
소매판매지수 증가율이 0%로 수렴하면 경기와 주식시장에 위기가 올 수 있음
2) 미국 소매판매지수, 미국 제조업 신규주문, 미국 주식시장의 관계
미국 소매판매액과 미국 주식시장은 연동되어 함께 움직임
전년비 소매판매지수 증가율은 제조업신규주문 지표와도 함께 움직임 (증가율이 둔화되면 신규주문도 감소)
즉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가장 큰 구간에 제조업 신규주문 및 주가 상승률이 컸음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둔화되면, 신규주문 및 주가 상승율도 둔화됨
3.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변화율 = 미국 주식시장 변화율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예상치가 높으면, 미국 주식시장에 악재
4.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대비 증가율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인플레이션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과 연관됨
1980~1990년대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해서 연준이 금리를 급격하게 올렸더니, 채권과 주식 시장 폭락
물가 상승이 너무 가파르면, 채권 투자자들은 연준을 의식해 채권을 매도하여 채권 금리 상승
한국, 중국 경제지표
1. 한국 수출 증가율
한국 수출 증가율과 코스피 증가율은 거의 일치
2. 중국의 산업생산
'제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금리와 인플레이션 및 주가의 관계 (feat. 기술주) (0) | 2021.12.12 |
---|---|
[경기 사이클] 거시경제와 주식시장 (0) | 2021.12.12 |
[밸류에이션] 장기투자 종목 선정 및 가치함정 (Value Trap) (0) | 2021.10.05 |
[금융지표] 주식 하락장 이전 시그널 확인하기 (하락장 피하기) (0) | 2021.10.05 |
[금융지표] 주가 추세 확인을 위한 금융지표 (0) | 2021.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