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6 [MeetUp] 우아한형제들 밋업 후기 (2022.11) 우아한현제들 MeetUp에 zoom으로 참여했다. 요약한 답변들과 느낀 점을 기록해보았다. B2B 회사에서 기능 구현 중심의 업무를 하나보니 FE 개발자로서 전문성이 쌓이지 않는데, B2C 회사로 이직을 해야 하는가? (김정환님 답변) 기능구현 수준에만 머문다는 질문이 공감된다. UI 버튼 만들면 POP UP이 보이거나 이런 정도의 업무를 할 때가 많다. 김정환님도 그런 일을 한 적이 있다. 거기에만 머물게 되면 정말 전문성이 얕아지는 것 같다. 어플리케이션 만들 때 좋은 설계를 고민해야 한다. 유지보수 환경 고민 등 이런 환경은 어디서든 할 수 있다. 이런 것에 초점 맞추는 것은 어떤가? 기능구현 수준으로만 개발하면 나중에 유지보수 힘들다. 어떻게 유지보수 하기 좋은지 설계를 고민해야 전문성이 키워진다.. 2022. 12. 18. 스타트업의 Bottom-up 적응기 첫 직장은 제조 대기업이었기에 Top-down 시스템 안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되었다. 구성원들의 역할, 권한, 책임에 대한 규정이 꽤 명확했다. 역할과 선을 넘는 행동이 월권이 될 때가 많았고, 주어진 역할을 넘어 책임지지 못할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미덕이었다. 그러나 내가 재직 중인 스타트업은 시스템이 부재하다. 역할, 권한, 책임에 대한 정의가 되어있지 않았다. 의도적인 Bottom-up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기보다는, 컨트롤 타워가 없다 보니 각 구성원들이 능동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구조이며, 어쩔 수 없이 Bottom-up을 하는 느낌이다. 이전 직장에서 월권이라고 여겨지는 행동이 여기서는 종종 마땅히 요구된다. 이곳 스타트업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자세들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1. 역.. 2022. 11. 23. 도메인 지식의 중요성과 분야별 소프트웨어 개발의 차이 개발자로 취업하기 전에는 웹 개발자가 단순히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로 나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현업에서 일해보니 산업과 도메인에 따라 상품의 특성이 달라져, 개발자에게 요구되는 업무도 상이하다고 느꼈다. 현재 내가 재직 중인 회사는 제조용 B2B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개발하다 보니, UI/UX나 SEO 등의 프론트엔드 기술보다는 백엔드를 통한 데이터 핸들링이 더 중요시된다. 소비자에 대한 이해와 문화적 도메인을 바탕으로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고 싶은 나로서는 생각이 많아지는 부분이다. 도메인 지식의 중요성 최근 수석 개발자님이 퇴사하셔서 내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인수인계를 받았다. 회사의 핵심 솔루션들을 기능과 코드를 살펴보면서 회사의 정체성과 제조 도메인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코드를 뜯어보기 전에 먼저.. 2022. 11. 22. 입사 후 첫 프로젝트를 하며 느낀 점 (개발 방법론, 생산성, 협업) 어느덧 개발자로 입사하여 회사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몇 달 간 실무를 하며 느낀 점들을 정리해보았다.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필요성 입사 1달 만에 팀장이 교체되었고, 새로운 팀장님마저 퇴사하셨다. 이후 팀장 없이 부서가 운영되었다. 처음에는 어떻게 업무를 진행해야 할지 몰랐지만, 대표님과 연구소의 도움으로 개발 진행 방식을 배웠다. 덕분에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개념을 알게 되었다. 먼저 제품에 대한 영업/컨설팅 문서를 바탕으로 고객 요구사항과 개발 Scope을 정리해야 했다. 이후 화면 디자인, 아키텍처, DB 설계를 진행하게 되었다. 폭포수 방식으로 진행하기에는 설계에 사용할 시간이 부족할 때, 프로토타입 개발방법론을 자주 사용한다고 한다. 프로토타입을 먼저 개발해보며 추후 미비된 설계.. 2022. 11. 21. [EC2] sudo node 명령어 에러 (The Node-API version of this Node instance is 1) AWS EC2에서 node index.js 명령어는 문제 없이 실행이 된다. 그러나 sudo node index.js는 실행이 되지 않는다. Error: The Node-API version of this Node instance is 1. This module supports Node-API version(s) 3. This Node instance cannot run this module. 이는 sudo 경로의 문제로 발생한 에러이다. sudo 경로를 바꿔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which 명령어를 사용하여 간단한 해결이 가능하다. sudo `which node` index.js 참고 링크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976658/on-ec2-sudo-no.. 2022. 9. 30. [AWS] HTTPS 배포 관련 URL 생성 및 공인인증서 Client HTTPS 배포 1. AWS Route53에 URL 등록 -> NS, SOA 유형의 URL 생성 2. AWS Route53의 NS 유형 URL에서 네임서버를 제공 -> 가비아에 등록 3. AWS 공인인증서 발급 시 적용할 URL을 2개 입력함 (www.cheongjici.com, cheongjigi.com) : Route53에 CNAME 유형 URL 2개 생성됨 4. 별칭 레코드 생성을 통해 A유형 URL 생성 : A URL 주소를 통해 Cloudfront URL과 공인인증서가 연동됨 참고 링크 : https://velog.io/@seongkyun/AWS-S3-CloudFront-Route53%EC%9D%84-%EC%9D%B4%EC%9A%A9%ED%95%9C-%EC%A0%95%EC%A0%81.. 2022. 9. 30. 이전 1 2 3 4 5 6 ··· 18 다음 반응형